Curriculum 교육과정

교과목 개요

전공필수

  • 보육학개론(Care an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보육교사로서의 전문직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영유아보육의 이론을 개괄적으로 학습한다.
  • 정신건강(Mental Health)
    현대사회의 특성과 정신건강에 위협을 주는 요인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적응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습득한다.
  • 연구및조사방법(Research Methods & Techniques)
    과학적 연구방법 및 사회조사방법에 대한 기본개념과 기본이론을 학습하여, 사회의 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능력을 배양하는데 중점을 둔다. 이를 위하여 양적 조사방법의 설계와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을 익히고, 질적 조사방법의 설계와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을 익힌다.
  • 가족관계(Family Relations)
    현대가족이 가족발달주기 전 과정에 걸쳐 겪게 되는 가족원들 간의 관계, 결혼과 부모로의 전환기, 가족역기능, 이혼 및 가족위기 등과 같은 주요 이슈와 도전들을 경험적 및 이론적 연구를 통해 살펴본다.
  • 가족학(The Family)
    가족에 관한 기초 지식을 연구하고 가족 상호 작용의 제 현상을 알아본다.
  • 소비자와시장(Consumer & Market)
    소비자와 시장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과 함께 소비자학 전반을 소개하는 기본과목이다. 소비자선택이론에 입각하여 급속도로 변화하는 시장환경에서 가계와 소비자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을 연구하고, 이를 통하여 소비자로서의 개인과 가계의 경제적 복지의 증진방안을 모색한다.

전공선택

  • 아동미술(Art of Early Childhood)
    아동의 미술표현 발달단계를 이해하고, 표현능력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미술 표현의 의미, 가치, 방법을 탐구하고 미술매체, 미술기법, 표현방법 등에 대해 학습한다.
  • 영유아발달(Child Development)
    영유아기의 주요이론과 영유아 발달영역의 특징을 학습하고, 교육현장에서 영유아발달을 지원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본다.
  • 가계경제학(Household Economics)
    소비자영역 중 가계에 초점을 두는 가계경제 관련영역의 기초로, 가계행동에 대하여 경제학적 관점에서의 이해를 도모한다. 가계소비와 저축, 가계재무론 등 경제체계로서의 가계와 가계의 경제구조분석 등의 기초지식을 학습한다.
  • 가족복지(Family Welfare)
    현대사회의 병리현상에 대한 문제해결 접근으로 인식되는 가족복지의 의미, 접근방법, 실천분야 및 해결 방안 등을 공부한다.
  • 가족상담(Family Counseling)
    가족치료의 중심 되는 이론들과 개념 그리고 과정을 알아보고 가족치료자로서 가족을 상담할 수 있는 지식과 방법을 습득하도록 하며 이를 응용하여 가족증상을 진단 및 해결하도록 한다.
  • 보육실습(Practice in Child Education)
    보육기관에서의 현장실습을 통하여 관련 과목에서 익힌 제 이론을 실제로 적용하여 실습해 봄으로써 아동을 현장에서 지도하는 방법을 익히게 한다.
  • 부모교육(Parents Education)
    부모가 부모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유아교육기관에서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구성과 부모상담기술에 대해 학습한다.
  • 소비자법과정책(Consumer Law & Policy)
    정부의 소비자를 위한 정책과 그 근거가 되는 법률의 내용을 이해한다. 정부 개입이 필요한 근거, 소비자 관련 정책의 유형과 내용, 소비자 관련 정책 시행기관의 기능, 소비자 기본법 및 개별 관련법의 주요 내용을 파악한다.
  • 소비자상담(Consumer Counseling)
    소비자 상담을 위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기 위하여, 구매전 상담, 구매시 상담, 구매후 상담의 내용과 방법을 학습하고 전화상담 및 대면상담, 편지상담 등 각 상담 유형별로 필요한 상담기법을 학습한다.
  • 아동상담(Counseling Children)
    유아, 아동, 청소년기에 발생하는 문제행동에 대한 적절한 지도 및 치료기법을 습득한다.
  • 보육과정(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영유아 보육의 기본목적을 습득하고 경험과 흥미를 이해하여 이들에게 적합한 보육의 내용, 방법 그리고 평가를 연구한다. 이를 바탕으로 질 높은 보육 환경을 제공하는데 적합한 보육과정 모형을 현장관찰을 통해 조직하고 분석한다.
  • 영유아교수방법론(Teaching Methods for Young Children)
    영유아를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의 이론과 실제를 살펴보고, 영유아보육현장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교사의 교수방법 향상 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 건강가정현장실습(Strong Family Practicum)
    건강가정센터 및 관련 기관에서의 현장실습 경험을 통해 건강가정을 강화하는 방법과 기술을 습득하며 가족들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 전달 과정을 공부하여 학생들의 전문성을 높인다.
  • 건강가정론(Strong Family Studies)
    건강한 가족의 특성을 파악하고 가족문제를 예방하며 가족생활을 긍정적으로 강화하는 방법들을 공부한다.
  • 아동안전관리(캡스톤디자인)(Safety Management for Children)
    영.유아기의 신체적 발달과정과 연결된 보건 및 위생학에 관한 이론을 기반으로 영,유아기의 건강, 영양, 안전을 지도하는데 필요한 교육내용과 교수방법을 학습한다.
  • 언어지도(Language Arts for Young Children)
    영유아기 언어의 기능과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유아가 언어를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타인과 상호작용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도방법을 모색한다.
  • 아동관찰및행동연구(The Observation and Study of Children)
    영유아의 행동 특성을 이해하여 교육현장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하여 필요한 아동관찰과 관련된 이론, 체계적 관찰, 기록 및 보고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 보육교사론(Teacher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보육교사의 역할, 태도를 이해하고, 보육교사의 자질과 지식을 기른다. 보육에 관련된 정책, 내용, 문제를 연구하며, 교사를 위한 전문적인 리더십 훈련을 실시한다.
  • 놀이지도(산학연계학)(Guiding Child's Play)
    영유아의 사회, 정서, 신체적 발달과 관련된 놀이에 대한 이론 및 최신 연구에 기초하여 보육시설에서의 놀이 환경과 영유아상호작용을 이해한다. 또한 영유아의 경험을 풍요롭게 하는 측면에서 교사의 역할 및 놀이를 지도하는데 필요한 환경 구성 및 교수학습방법을 현장실습 및 참관을 통해 익힌다.
  • 상담및심리치료윤리(Ethics of Marriage and Family Therapy)
    결혼, 가족상담 및 심리치료 실제에서 학생들이 상담전문가로서 경험하는 윤리적 문제와 딜레마를 다루며, 전문가의 윤리코드와 이슈들을 이해하고 윤리적 의사결정을 내리는 과정을 공부한다.
  • 아동수학지도(산학연계학)(Teaching Mathematics for Children)
    아동의 수학적 개념 발달과 이론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수학교육을 수준별로 계획, 실행, 및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한다. 또한 다양한 교육적 매체를 활용한 아동 수학 교육의 교수방법, 교구의 선택 및 제작방법에 대해 학습하고 현장관찰 및 실습을 통해 이를 적용해 본다.
  • 가계재무설계(Financial Planning for Consumers)
    개인 또는 가계의 재무 설계 기본개념과 실제 운용과정의 기초적인 사항을 학습한다. 가계재무 설계의 과정 즉 자금관리, 보험설계, 투자설계, 은퇴설계의 기초이론과 생애재무 설계 방안을 학습한다.
  • 소비자의사결정과위험관리(Consumer Decision-Making and Risk Management)
    소비자의 선택행위를 의사결정과정 중심으로 살펴보고, 관련이론과 소비자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제 요인들을 행동과학적 접근방법으로 학습한다. 또한 변화하는 경제 환경에서 위험관리에 대한 의사결정의 중요성 인식과 함께 위험관리의 한 방법으로서 보험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실제 상품 및 사례를 통해 위험관리 역량을 기른다.
  • 아동권리와복지(Child Rights and Welfare)
    아동 복지의 개념, 일반 및 특수한 요구를 가진 영,유아, 아동을 위한 복지제도의 역할과 종류, 아동복지와 관련된 미래의 전망 등을 학습한다. 사회적 변화에 따른 영.유아, 아동을 위한 프로그램의 현황, 시설을 학습한다.
  • 가족생활교육(캡스톤디자인)(Principles of Family Life Education)
    가족생활교육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며 가족생활교육에서 가치가 차지하는 비중과 영향력에 대해 공부한다. 또한 다양하고 창의적인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을 만들고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 영유아보육프로그램개발과평가(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Daycare Program for Young Children)
    보육과 관련된 다양한 프로그램의 이론적 배경과 실제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해 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영유아사회정서지도(Guiding Young Children's Socio-Emotional Development)
    유아의 사회성, 정서 발달에 관한 이론과 연구들에 기초하여, 아등의 긍정적인 자아개념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진시킬 수 있는 사회ㆍ정서 교육의 계획, 교수방법과 프로그램을 학습한다.